AWS

Error Logs

AWS ALB https BAD GATEWAY

ALB를 활용해 https 호스팅 시도 중, http접속은 정상인데 https 접속시 502 Bad Gateway가 뜨는 현상이 있었다. 원인을 찾아보니 ALB에서 443리스너에 등록된 타겟 그룹의 health check가 계속 실패하고있었다. 여러 번 다시 시도하는 동안 당연하다는 생각에 타겟그룹과의 통신은 HTTPS로 443포트를 쓴다고 설정했는데, 생각 해 보면 클라이언트가 ALB로 접근하는것과, ALB에서 타겟 그룹에 접근하는 것은 엄연히 다르다. 결과적으로 ALB가 결국 타겟 그룹에 지정된 인스턴스와 통신할때는 결국 80번 포트를 쓰면 된다. 443포트를 쓰려면 매 인스턴스에 인증 처리를 해줘야 한다. 해당하는 타겟 그룹이 ALB와 통신하는 Protocol:Port를 HTTP:80으로 맞춰주니 ..

Tips

DBeaver로 RDS 접속하기(ssh tunneling)

이전에 RDS를 처음 쓸때에는 항상 EC2를 통해서 직접 접속하거나, 본격적으로 작업 할 때에는 RDS의 퍼블릭 액세스를 잠시 열어두고 DBeaver같은 툴로 작업을했었습니다. 실제로 검색을 해봐도 대부분이 퍼블릭 액세스를 허용해서 쓴다는 글이 많더라구요. 그런데 앞으로는 귀찮음을 덜되, 보안을 위해서 ssh 터널링을 이용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당연하게도, 퍼블릭 액세스는 '아니요'로 설정된 상태로 시작합니다. 아, 그 전에 기본적으로 DB의 보안그룹에서 인바운드 3306(혹은 해당하는 포트)도 필수적으로 사전에 열어주셔야 합니다! 먼저 평소 하던대로 RDS의 정보를 입력 해 주시고, 여기까지만 진행하고 로컬에서 RDS로 접속을 시도하면, 아래처럼 타임아웃되며 접속이 불가능한데요, 여기서 'SSH'..

HC-Kang
'AWS'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