셔뱅(#!)이란, 스크립트의 맨 첫 부분에서 해당 스크립트를 실행시킬 프로그램을 지정하는데에 쓰입니다. 샤뱅(sha-bang), 해시뱅(hashbang), 파운드-뱅(pound-bang), 해시-플링(hash-pling), 크런치뱅(crunchbang) 등으로도 불린다고 하는데, 사실 셔뱅과 해시뱅 외에는 아직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셔뱅의 사용 예시 (출처 - 위키백과) #!/bin/sh — /bin/sh 경로의 본 셸 또는 호환 셸을 이용하여 파일을 실행 #!/bin/csh -f — C 셸(csh) 또는 호환 셸을 이용하여 파일을 실행하고, 시작 시 사용자의 .cshrc 파일의 실행을 방지 #!/usr/bin/perl -T — 테인트 검사 옵션으로 펄을 이용하여 실행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스크립트를 ..
작년 이맘때, 처음으로 개발을 접하면서 스스로에게 주는 선물로 맥을 처음 쓰기 시작했습니다. 이왕 처음 쓰는거 보기 좋고 쓰기도 편하게 쓰자고 한동안 남들이 좋다는건 다 써보고, 테마도 바꿔가면서 쓰다가 접한 게 여러 가지 있지만, 그중에서도 아직 가장 만족하고있는건 역시 item2와 zsh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데, 문득 생각 해 보니 집에서 데이터 분석용으로 쓰고있는 Ubuntu는 매번 별도 설정 없이 불편한거 참아가면서 기본 배쉬로 쓰고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조금 쓰기 좋게 바꿔보자는 생각이 들어서 한번 설치 해 봤습니다. 우선 zsh를 설치해줍니다. sudo apt-get install zsh 이후 쉘을 zsh로 변경하고, 쉘을 다시 실행해줍니다. chsh -s /usr/bin/zsh 다음으로 ..
이전에는 당연히 윈도우->리눅스나, 혹은 맥->리눅스로 ssh 접속을 하였는데, 회사 업무 상 반대로 접속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처음엔 PowerShell만 깔아주면 당연히 되겠거니 했는데, OpenSSH 설치나 시작에서 리눅스와는 완전히 달라서 꽤나 애를 먹었다. 특히 내 계정명이 Heechan Kang으로, 띄어쓰기가 있어서.. Heechan Kang@123.12.123.12로 접속할수가 없으니 정말 당황했다. 그러다가 아래 링크를 발견해서 해결했다. https://www.hanselman.com/blog/how-to-ssh-into-a-windows-10-machine-from-linux-or-windows-or-anywhere How to SSH into a Windows 10 Machine f..
계정 생성 1. useradd : 홈 디렉토리 생성안됨. - m : 홈 디렉토리 생성 - g : 그룹 아이디 지정 이후 passwd 로 비밀번호까지 지정. 2. adduser : 홈 디렉토리 자동생성 자동으로 세부사항을 물어보고 생성 아마 당장은 2번이 더 유용할 것 같다. 계정 전환(진입) 1. 루트계정으로 이동할때 sudo -i 2. 계정 간 전환(진입) su - 계정명 3. 로그아웃 exit. 계정 삭제 1. userdel 활용. 그런데 etc/passwd 와 home에선 삭제되지만 디렉토리는 남아있음. 디렉토리를 별도로 rm -rf로 지워주거나 2. userdel -r 활용 만약 전부 종료 해 주었음에도 user ㅇㅇㅇ is currently ~ 하는 경우 userdel -r -f ㅇㅇㅇ로 강제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