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RDS를 처음 쓸때에는 항상 EC2를 통해서 직접 접속하거나, 본격적으로 작업 할 때에는 RDS의 퍼블릭 액세스를 잠시 열어두고 DBeaver같은 툴로 작업을했었습니다.
실제로 검색을 해봐도 대부분이 퍼블릭 액세스를 허용해서 쓴다는 글이 많더라구요.
그런데 앞으로는 귀찮음을 덜되, 보안을 위해서 ssh 터널링을 이용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당연하게도, 퍼블릭 액세스는 '아니요'로 설정된 상태로 시작합니다.
아, 그 전에 기본적으로 DB의 보안그룹에서 인바운드 3306(혹은 해당하는 포트)도 필수적으로 사전에 열어주셔야 합니다!
먼저 평소 하던대로 RDS의 정보를 입력 해 주시고,
여기까지만 진행하고 로컬에서 RDS로 접속을 시도하면, 아래처럼 타임아웃되며 접속이 불가능한데요,
여기서 'SSH' 탭을 선택해 주시고, 경유에 사용할 ec2의 host/IP와 인증수단을 입력 해 주시면 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주로 Public Key를 쓰는데, 일반적인 패스워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중요한점은
꼭 Advanced settings에서 SSHJ를 선택해주셔야 한다는 점 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이걸 몰라서 꽤나 시간 낭비를 했네요..
다들 즐거운 코딩 하세요~~